티스토리 뷰
노폐물 생성과 배설
몸 안의 세포들의 생명활동 결과 생긴 부산물(물, 이산화탄소, 암모니아)들이 몸 밖으로 배출되는 물질들을 노폐물이라 하고 이들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배설이라고 한다. 배설은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땀, 오줌등을 배출하는 것만 말한다.
노폐물의 생성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세포 호흡과정에서 에너지를 생성하지만, 그 이외에 이산화 탄소, 물, 암모니아등도 생성한다.
영양소 | 구성 원소 | 생성되는 노폐물 |
탄수화물 | 탄소(C), 수소(H), 산소(O) | 이산화탄소(CO2), 물(H20) |
지방 | 탄소(C), 수소(H), 산소(O) | 이산화탄소(CO2), 물(H20) |
단백질 |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 이산화탄소(CO2), 물(H20), 암모니아(NH3) |
배설
1)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호흡의 날숨을 통해 몸밖으로 배출된다.
2) 물은 생명활동에 사용되고 남은 찌꺼기는 호흡을 통해 수증기 형태로, 나머지는 오줌을 통해 배설된다.
3) 단백질의 구성원소인 질소로 인해 생성된 암모니아는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어서 간에서 독성이 적은 요소로 바뀐후 오줌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배설계의 구조
배설계는 콩팥, 오줌관, 방광 등으로 구성된다.
콩팥은 겉질과 속질로 구분되고 , 이 콩팥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인 네프론(사구체+보먼주머니)에서 오줌이 생성된다.
오줌의 생성 과정
1) 여과작용 : 사구체에서 보먼주머니로 혈압에 의해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여과라 한다.
여과란 거름종이로 걸러지는 작용과 같이 작은 물질들만 걸러지기 때문에 단백질, 지방등의 고분자 물질은 여과되지 않고, 포도당, 아미노산 같은 저분자 물질 등만 여과되어 원뇨를 형성한다.
2) 재흡수 작용 : 원료중에는 우리 몸에 필요한 물질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물질이 몸 밖으로 나가면 좋지 않다.
그래서 원뇨가 세뇨관을 지날 때 모세혈관으로 이동하는 작용을 재흡수과정을 거치게 된다.
재흡수되는 물질들은 포도당, 아미노산, 물등이 있다.
3) 분비 작용 : 네프론(사구체+보먼주머니)에서 여과되지 않고 모세혈관으로 들어온 물질 중에는 사람의 몸에 유해한 물질들이 있는데 이들은 몸 밖으로 내 보내기 위해 모세혈관에서 세뇨관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분비되는 물질로는 요소나 크레아틴과 같은 노폐물들이 있다.
기관계의 통합적 작용
기관계의 특징
1) 소화계 :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가 일어나는 곳으로 입-위-소장(십이지장, 이자)-대장의 과정을 통한다.
2) 호흡계 : 산소와 이산화 탄소의 교환이 일어나는 곳으로 코-기관-기관지-폐로 통한다.
3) 순환계 : 물질의 순환을 담당하는 곳으로 흔히 혈액을 말한다.
심장(사람의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되어 있다.)과 혈관(동맥, 정맥, 모세혈관)등이 있다.
4) 배설계 : 오줌이나 땀을 통해 몸 속 노폐물을 배설하는 기관들을 말한다.
5) 사람의 기관계 통합적 작용
생명 활동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소화계, 배설계, 순환계, 호흡계 등의 통합적 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나야 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 상담자 공부과정, 비용, 연봉, 취업하기 (0) | 2023.01.06 |
---|---|
물질 대사 & 대사성 질환 , 대사 증후군 (0) | 2022.12.30 |
생명 공학 기술 어떤 것들이 있을까? 난치병 치료 가능... (0) | 2022.12.15 |
우리는 어떻게 물체를 보는가? 물체의 색과 빛의 성질 (0) | 2022.12.13 |
정치의 의미와 기능과 법치주의 민주 정치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