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대륙 이동설

대륙 이동설은 현재 세계적으로 흩어져 있는 대륙들이 과거에는 하나의 커다란 초대륙(판게아)였으나 지구 내부의 여러 가지 힘에 의해 현재와 같은 모양을 띠고 있다는 학설로 1912년 독일의 기상 학자인 알프레드 베게너에 의해 제창 되었습니다.

(* 판게아 : 약 3억 3500만년전에 하나로 붙어 있던 거대한 대륙을 판게아라 부릅니다.)

당시에는 학계에서 대륙 이동의 원인을 베게너가 증명하지 못해 인정받지 못하였으나 이후 해저 확장설을 거쳐 지구과학 분야의 패러다임을 이루는 판구조론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대륙의 이동

 

대륙 이동의 증거

 

해안선의 모양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해안선 모양이 거의 일치합니다.

 

 

 

산맥의 분포

북아메리카와 유럽 대륙의 산맥은 대륙을 하나로 모았을 때 잘 연결됩니다.

북아메리카의 애팔래치아 산맥과 유럽의 칼레도니아산맥은 지질 구조와 나이가 비슷하고 대륙을 하나로 모았을때 연결됩니다.

 

 

빙하의 흔적

대륙에 남아 있는 빙하의 흔적을 남극 대륙 중심으로 연결하면 여러 대륙이 하나로 잘 연결됩니다.

적도 부근에 있는 인도 대륙에서 빙하 퇴적물과 빙하가 이동하면서 긁은 흔적이 발견되는데, 이는 인도 대륙이 과거에 극지방에 있다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였다는 증거입니다.

 

유사한 화석의 분포

대륙을 하나로 모으면 메소사우루스 화석과 글로소픙테리스 화석의 분포가 잘 설명됩니다.

같은 종의 생물은 동일한 환경을 가진 지역에서만 살게 되는데 멀리 떨어진 대륙에서 같은 종의 생물 화석이 발견된다는 것은 하나였던 대륙이 분리되고 이동하였다는 증거입니다.

 

대륙 이동설의 한계

베게너는 대륙을 이동시키는 힘(즉 원동력)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당시의 과학자들에게 인정받지는 못하였습니다.

 

 

판의 경계

 

: 연약권 위를 움직이는 지각과 맨틀 상부 일부를 합한 단단한 암석권의 암석층을 말합니다.

판의 이동 : 지구 내부의 맨틀은 대부분 고체 상태이지만 일부 영역은 상대적으로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 부분이 대류가 일어나 맨틀 위에 떠 있는 대륙이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게 됩니다.

판은 판 아래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1년에 수 cm정도의 아주 느린 속도록 이동하게 됩니다.

 

판의 경계

지구는 크고 작은 10여개의 판으로 구성되어져 있고 판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과 속력에 따라 판과 판의 경계에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부딪치거나 서로 어긋나면서 여러 지각변동(화산활동, 지진)이 발생합니다.

 

 

 

발산형 경계

  • 맨틀 대류가 상승하는 곳으로 판과 판이 갈라져 멀어지는 경계
  • 지각변동 : 지진발생, 화산 활동
  • 형성 지형 : 해령

 

수렴형 경계

  • 판과 판이 부딪치며 가까워지는 경계로, 충돌형과 섭입형이 있습니다.
  • 지각변동 
  1. 충돌형 :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나면서 습곡 산맥이 형성
  2. 섭입형 :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나면서 해구, 호상열도, 습곡산맥이 형성

 

보존형 경계

  • 두 판이 서로 어긋나는 곳으로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는 경계
  • 지각변동 : 지진 발생
  • 형성 지형 : 변환 단층(산안드레아스 단층)

 

지진대와 화산대

지진 : 지구 내구의 급격한 변화로 생긴 진동이 지표로 전달되는 현상

진원과 진앙 : 지진이 발생한 지점을 진원, 진원 바로 위 지표면의 지점을 진앙이라고 합니다.

 

지진파의 종류

 

 

화산 활동 : 마드마가 지표로 빠져나오면서 화산 기체, 화산재 등이 분출되는 현상

지진대와 화산대

 

전 세계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을 연결해보면 좁고 긴 띠 모양으로 분포하게 됩니다.

지진대 :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

화상대 : 화상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

지진과 화산 활동 같은 지각 변동은 판의 경계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지진대와 화산대는 판의 경계와 거의 일치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