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달 자원 탐사 헬륨-3

수십 년 전의 달 탐사 경쟁이 군사적으로 체제 우위를 점하려는 시도였다면 현재는 경제적인 양상을 띠는 달 탐사가 주된 목적입니다.

이미 달 자원지도도 완성된 상태라고 합니다. 어떤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을까요?

달 자원 지도

무한 자원의 보고 : 헬륨-3

태양의 에너지를 내는 방식을 닮았다해서 인공 태양으로 불리며 이를 핵융합에 이용하면 지구 전체가 1년 동안 사용할 에너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헬륨-3

 

(헬륨-3이란 것은 하나의 중성자와 두 개의 양성자로 구성된 비방사성원소로 미래 에너지 행융합 발전의 원료로 사용 가능한 물질입니다. )

 

태양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대한 양의 헬륨-3입자는 지구에서는 대기와의 마찰로 타버리지만 대기가 없는 달에서는

표면에 수 m가 쌓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헬륨-3 매장량

최소 100만톤이상 묻혀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비교
헬륨-3 석유
1톤 1,400만톤

에너지 효율이 워낙 뛰어나 불과 25톤만으로도 미국 인구 3억 명이 1년 동안 사용 가능할 전력을 생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달에 포함된 헬륨-3를 모두 가져올 수 있다면 지구는 무려 1만 년 동안 사용가능한 에너지를 보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에너지 확보 차원의 자원뿐만 아니라 원자력 발전의 원료인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은 적은 양으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지만, 방사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물질을 이용하면 원자력 발전보다 5배나 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방사능 폐기물도 거의 나오지 않아 안전성과 효율적인 면에서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달을 먼저 알고 탐사하는 나라가 유리한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는 것입니다.

 

헬륨-3의 가치

금의 6배에 해당하는 엄청난 값어치를 지니고 있으나 아직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핵융합 실험로가 개발 중이고 개발이 완성되고 난 후 실제 2055년쯤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희귀 광물

달에는 현재 500~1500조 달러의 가치가 있는 희귀 광물(티타늄, 희토류 등)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미 세계 각국의 달 탐사 전문 기업들은 달에서 일확천금을 노리고 있는 중이기도 합니다.

 

산과 바다고 덮인 지구와 달리 아무것도 없어 줍거나 캐기만 하면 되는 달 자원 채굴과 운송이 적지 않은 비용이 들지만 채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술적 한계와 높은 비용으로 영화나 소설의 단골 소재로만 사용되었던 우주 광산이지만 달 탐사 경쟁이 불붙으면서 우주 광산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달토지 구입

우주 천체 조약

1967년 우주 천체의 탐사와 이용 활동에 관한 기본 원칙을 정한 우주 평화 국제 조약으로 국가나 특정 기관이 달을 포함한 천체를 소유할 수 없도록 규정한 조약이다.

 

하지만, 2015년 미국 정부가 민간 기업의 우주 광물 체취를 법적으로 보장하는 상업적 우주 발사 경쟁력 법을 통과시키면서 민간기업이 자원채굴 권리를 보장해주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로 인해 하늘을 보며 소원을 빌던 낭만의 상징에서 비즈니스의 장이 된 달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1980년부터는 달 토지를 판매하는 사람이 나타나게(현재 600만 명이 구매) 되고 지금까지 70억 원의 수익을 얻었다고 합니다.

 

이는 법적 효력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