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블록체인 가상 화폐 거래 전망과 위험성

지폐나 동전과 같은 실물이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특정한 가상공간에서 전자적 형태로 사용되는 디지털 화폐 
또는 전자화폐를 말한다. 대표적인 것이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2009년에 만들어졌다.

 

가상화폐(비트코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암호화폐가 비트코인이다.

지폐와 동전과는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없는 온라인 가상화폐를 말한다.

 

온라인 가상화폐라고 하면 온라인에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카드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신용카드 거래는 우리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상으로 거래를 할 때 우리의 카드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에게 건네줘야 하는데 이에 상대방은 카드 정보를 이용해 돈을 인출하게 된다. 쉽게 말해 우리는 카드로 결제를 한다는 것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카드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하게 된다고 보면 된다.

이런 카드 거래에는 많은 취약점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개인정보 유출이나 상대방이 악의로 이용하거나 해킹의 위험도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전 국민 GDP의 1% 정도가 매년 신용카드 범죄로 사라지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갈수록 기능이 떨어지는 기존화폐를 대신해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회사등의 어떠한 권력 개입 없이 새로운 화폐를 만들겠다는 출발점에서 나온 것이 비트코인이다.

 

 

블록체인 기술이란?

한마디로 개념을 설명하면 모든 거래자의 거래 장부를 모두가 공유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물리적인 형태의 화폐 거래를 하려면 우리는 직접 만나거나 계좌이체등을 통해 거래를 할 수밖에 없다.

이 거래에 은행은 중개자 역할을 하게 되고 거래 내역은 모두 은행의 중앙서버에 저장하게 되고 보관된다.

당연히 이 중앙 서버는 철저한 보안을 받게 되지만 여전히 해킹으로부터 자유롭다고 할 수는 없고 보안 유지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거래내용을 상당히 많은 서버에 동시에 나눠 보관하면 문제는 간단히 해결된다.

즉 중앙서버 한 군데에 기록을 남길 경우 여러 문제로 기록이 삭제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여러 서버에 기록을 보관하게 되면 한군데의 기록이 삭제되더라도 다른 수많은 서버에 남은 기록으로 인해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된다.

대표적인 블록체인의 예가 시중에 출판되는 책이라고도 할수 있다.

시중에 나와있는 모든 책을 없애지 않은 이상 기록은 남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수많은 서버를 블록이라 하고 이 블록들을 연결시켜주는 것이 체인이라 하여 이 두 단어를 조합해서 블록체인 기술이라 하고 이 기술로 만들어진 화폐가 블록체인 가상 화폐가 된 것이다.

 

전망

가상 화폐가 정상적인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신뢰를 얻어야 가능하다.

우리는 기존의 화폐를 이용해서 물건을 사고 파는 행위 등을 자연스럽게 하는 이유는 모든 사람들이 신뢰를 하기 때문이라 가상화폐 또한 인정받기 위해 우선시되는 것이 화폐로서의  신뢰이다.

 

경제학적으로 대량으로 상품이 생산되면 상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어 있고 화폐 또한 얼마든지 대량으로 생산될 가능성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기존화폐를 대량 생산으로 추락하는 가치를 맞이하는 나라들을 우리는 종종 뉴스를 통해 보고 있다. 

이에 반해 가상 화폐는 특정 국가나 권력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기존 화폐에 대한 불신이 오히려 가상화폐에 대한 신뢰감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트코인을 금에 비유하기도 한다.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장기적으로 봤을 때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오르는 추세에 있다. 

가상화폐도 금이나 다이아몬드나 고급 예술품처럼 발행량이 정해져 있어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본다.

비트코인의 총발행량은 2100만 개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정해진 발행량과 기존 화폐에 대한 불신등으로 장기적으로 볼 때 가치는 더 상승할 것으로 보면 견해도 많다.

 

위험성

아직 안전한 자산으로만은 볼 수 없다.

가장 큰 위험성으로 대두되는 것은 변동성이 크다는 것이다. 

주식 등과 같이 중앙 권력에 의해 통제되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1년 365일 매일 24시간 거래가 가능하다.

하루에도 몇 백만 원씩 상승과 하락을 되풀이하고 있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화폐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는 못하고 해킹으로부터는 자유로울지 몰라도 거래소는 여전히 해킹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

 

직접 거래를 하는 것이 아니라 빗썸이나 업비트등과 같은 거래소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 지므로 이를 거래소가 해킹이나 파산하게 된다면 엄청난 손실을 볼 수도 있다. 

추후 정부 차원의 법규 제정이나 기존 은행등에서의 압력이 더욱 세질 가능성이 있어 위험성은 여전한 건 현실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