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별자리 또는 성좌

별들을 몇 개씩 연결하여 신화 속 인물이나 동물, 물건의 이름을 붙인 것으로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 오는 별자리도 많고 누구나 새로운 별자리를 자기 마음대로 그려 볼 수도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황도 12궁을 필두로 고대 이집트, 그리스 아라비아 등의 지방에서 전래하는 것들이 많고 동양의 경우 고대 중국의 3원 28수 체계가 있습니다.

 

현재는 국제적인 표준 별자리 88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별자리를 이루는 별들은 보이는 방향이 같지만, 실제로 별의 거리는 각각 다릅니다.

 

북쪽 하늘 별자리

우리나라의 북쪽 하늘에서는 북극성 부근에 있는 별자리들을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볼 수 있습니다.

*북극성 찾는 방법

북극성위치

  • 북두칠성 이용 : 국자 모양의 마지막 두 별을 연결하여 그 거리를 5배 연장할때 만나는 별
  • 카시오페이아자리 이용 : W자의 뾰족한 부분에 있는 두별을 연장하여 만날 것으로 예상되는 점과 W자의 중심 별이 이루는 거리를 5배 연장할 때 만나는 별

북쪽 하늘의 별

별 자 리 특 징
큰곰 자리 북두칠성을 포함
작은 곰 자리 북극성을 포함
카시오페이아자리 W자 모양
세페우스자리 오각형 모양

 

계절별 별자리

계절마다 밤9시 무렵에 남쪽하늘에서 잘 보이는 별자리를 말하며, 계절마다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는 지구는 태양주위를 1년마다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봄철 관찰 가능 별자리

봄철 별자리

대표 별자리 : 목동자리, 처녀자리, 사자자리등

특징 : 봄철 대삼각형이 아크투루스(목동자리), 데네볼라(사자자리), 스피카(처녀자리)가 대삼각형을 이룹니다.

 

 

목동자리는 밤하늘에서 세 번째로 밝은 아크투루스를 비롯하여 3등급 이하의 밝은 별을 6개나 가지고 있지만 어두운 은하나 성단은 근처의 처녀자리나 사냥개자리에 비해 매우 적은 편입니다.

 

처녀자리는 손에 보리 이삭을 들고 있는 여신의 모습으로 보리 이삭 위치에는 처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스피카가 있습니다. 이 스피카는 '곡물의 이삭'이라는 뜻인데, 옛날 사람들은 이 별을 보고 씨 뿌리는 시기가 온 것을 알아차렸다고 합니다.

 

사자자리는 동아시아에서 이 별자리는 헌원이라는 이름으로 불렀고 동서양 모두 황제의 별자리로 취급한 별자리입니다.

수메르에서는 사랑과 전쟁의 여신인 인안나(이슈타르)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여름철 관찰 가능 별자리

여름철 별자리

대표 별자리 :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허큘리스자리등

특징 : 데네브(백조자리), 직녀성(거문고자리), 견우성(독수리자리)이 대삼각형을 이룹니다.

 

백조자리는 은하수 위에 날개를 펼친 백조의 모습을 하고 있고 고니자리라고도 합니다. 십자 모양이기 때문에 남십자성과 대비되는 개념의 북십자성으로도 불리고 백조자리가 서쪽 하늘로 가라앉는 겨울밤에는 북십자성이 똑바로 선 모습이 됩니다.

 

거문고자리는 여름철 밤하늘의 대표적 별자리로 머리 꼭대기에 보이고 모양은 U자형 틀에 현을 붙인 하프로 그려집니다.

거문고 자리의 알파별 베가는 직녀성으로도 유명합니다.

 

독수리자리는 은하수 가운데 있으며 알타이르가 독수리자리의 알파별이며 밝은 별이 많아 찾기 쉽습니다.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가 독수리가 변하여 날아가는 것이라 합니다.

 

가을철 관찰 가능 별자리

가을철 별자리

대표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물고기 자리, 양자리등

특징 : 페가수스자리를 이루는 네 개의 별주변에서 별자리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페가수스자리는 몸통이 커다란 사각형은 '페가수스 사각형' 또는 '가을의 대사각형'으로 불리면 가을철 대표적인 길잡이별로 꼽힙니다.

 

안드로메다자리는 가을의 초저녁 동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 알파별은 페가수스자리의 3개의 밝은 별과 함께 페가수스의 사각형을 이루며 베타별은 북쪽의 4 등성으로 육안으로 희미하게 안드로메다은하가 보입니다.

 

물고기자리는 황도 12궁의 제 12궁으로 2월 19일~3월 20일에 해당되며 점성술에서 수호성은 목성입니다.

 

겨울철 관찰 가능 별자리 

겨울철 별자리

대표 별자리 : 오리온자리, 큰개자리, 작은 개자리, 쌍둥이자리, 마차부자리, 황소자리등

특징 : 프로키온(작은개자리), 베텔게우스(오리온자리), 시리우스(큰 개자리)가 대삼각형을 이룹니다.

 

오리온자리는 그리스 신화 속 사냥꾼 오리온의 전설을 담은 별자리로, 베텔게우스, 리겔, 오리온성운, 말머리성운 등의 천체로 유명합니다.

 

큰개자리는 겨울철 오리온자리의 남쪽에 보여 오리온의 사냥개로 알려진 별자리입니다.

하늘 전체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있으며 한국과 중국에서는 시리우스를 먹이를 바라보는 늑대의 눈빛 같다고 해서 '천량성'이라고 불렀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시리우스가 떠오르는 것을 보고 나일강의 물이 불어나는 시기임을 알았다고 하네요.

 

작은개자리는 육안으로 25개의 별을 볼 수 있으며 프로키온과 고메이사라는 두 개의 별이 주요 별입니다. 

현재 북극성 폴라리스를 포함하고 알파별인 폴라리스가 서기 2000년대인 현재 북극성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고, 서기 3000년이 되면 세페우스자리 감마별이 북극성의 자리를 이어받을 예정입니다. 

위치상 구성 별들이 모두 한국에서는 사계절 내내 북쪽 하늘에서 관측이 가능한 주극성들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