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말 정산의 개념과 공제 및 잘 하는 방법
연말 정산의 개념
한 해 동안 총 근로소득에서 최종적으로 내야 하는 세금을 근로자가 정산을 통해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소득에 대한 세금이 한 해 동안의 총소득 전체에 세금을 부과는 것은 아니고 나라에서 정한 세법에 정한 기준에 따라 일정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에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제를 최대한 많이 활용해서 공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을 토대로 세금을 부과하면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다.
똑같은 월급을 받더라도 연말정산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게 되는데 소득공제를 잘 활용하면 흔히 말하는 13월의 월급의 개념으로 느껴지게 된다.
세금 공제 대상 및 잘 하는법
공제 대상은 종류가 워낙 많지만 몇 가지만 다루어 본다.
첫 번째가 소득공제인데 이는 소득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비용이 들어가야 하는 것을 인정하여 세금 부과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여주는 것이다.
두 번째가 세액공제인데 1년 총소득에서 소득공제를 한 후 계산된 세액에서 또 한 번 빼주는 것으로 한마디로 소득공제로 부과된 세금에서 그 세금을 한번 더 빼주는 개념인 것이다.
또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을 잘 활용함으로써 혜택을 볼 수 있는데 이 세 가지를 합쳐서 근로자의 총소득의 25%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신용, 체크, 현금영수증의 비중은 25%까지는 구분 없이 계산되다가 25%를 초과한 금액부터 신용카드 15%,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30%의 공제율이 적용된다.
이 사실로 알 수 있는 것은 총소득의 25%까지는 신용카드를 주로 사용함으로써 포인트 적립의 혜택을 받고 25% 초과분부터는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을 활용하는 게 더 유리하다.
카드 사용량은 홈텍스를 통해서 알 수 있으니 참고하여 적절하게 배분하여 사용하면 된다.
세 번째로 볼 수 있는 것은 인적공제인데 이는 부양가족 1인당 150만 원을 공제해준다. 주민등록상 같은 거주지가 아니더라도 인적 공제가 가능하나 중복은 되지 않는다. 연령은 배우자의 경우는 연령과 상관없이 인적공제가 되고 자녀 혹은 손자녀는 만 20세 이하는 가능하고 부모, 조부모, 배우자의 부모, 조부모는 만 60세 이상, 형제, 자매인 경우는 만 20세 이하 혹은 만 60세 이상은 인적 공제 대상에 포함된다.
여기에 추가로 만 70세 이상은 1명당 연 100만 원, 장애인은 1명당 연 200만 원, 부녀자는 50만 원, 한부모가정인 경우는 100만 원의 추가 공제도 된다.
네 번째로 볼 것은 의료비 공제인데 병원이나 약국에서 결제한 적이 있더라도 본인과 부양가족 전체의 의료비가 연간 총소득의 3% 이하라면 공제가 안되고 3%를 초과해야 공제가 가능하다. 이 의료비 공제는 요즘은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별도로 계산할 필요는 없지만 신손보험을 통해 일정 금액을 수령했다면 그 금액은 공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섯 번째는 교육비로 15%를 세액공제받을 수 있다. 본인의 직업 훈련, 대학, 대학원 학비, 학자금 대출 원리금 상환액, 배우자나 자녀의 대학과정까지는 모두 공제대상이다. 자녀들의 초등학교 입학 전 유치원비, 학원비도 공제 대상이나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사교육비는 공제 불가지만 교육, 교과서 구입비, 교복 구입비등은 대상이다.
추가적으로 무주택 자나 세대주는 주택청약 납입액의 연 240만 원 한도로 40%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이 외에도 전세자금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월세 납입액, 장애인, 경력단절 여성은 중소기업 취업일로부터 3년에서 5년까지 70~90% 세액감면, 기부금도 공제 대상이 되니 꼼꼼하게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
해가 거듭될수록 연말 정산하는 법이 많이 간소화되었다고 하지만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13월의 월급의 개념으로 다가올 수도 있고 세금을 납부해야 할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니 잘 알아보고 좋은 결과 있다면 좋겠다.
'GM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의 종류, 특징 (0) | 2022.12.04 |
---|---|
추운 겨울철 건강관리, 호흡기 질환 종류와 예방 (0) | 2022.12.01 |
축구, 월드컵의 역사, 우리나라의 첫 월드컵 (0) | 2022.11.27 |
우주의 탄생 빅뱅 우주론의 확립 과정 (0) | 2022.11.26 |
4차산업 화제의 알바 데이터 라벨링 개념, 작업 (0) | 202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