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중추 신경계의 종류와 기능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가 있는데 중추신경계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다.

 중추 신경계는 우리 몸 가운데 위치해 있어 중추라 하며 뇌는 두개골 속에 보호를 받고 있으며 5개의 뇌(대뇌, 중뇌, 소뇌, 간뇌, 연수)로 구성되어 있고 척수는 척추뼈 속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신경 다발이다.

 

신경계

감각기에서 보낸 정보를 받아들이고 종합 · 분석하여 반응기에 반을 명령을 전달하는 기관계로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로 구분된다.

 

중추 신경계

감각기에서 보낸 정보를 받아 통합한 후 반응 명령을 내리며, 뇌와 척수로 구성된다.

1. 뇌: 대뇌, 소뇌, 간뇌, 뇌줄기(중간뇌, 뇌교, 연수)등으로 구성된다.

대뇌

좌우 2개의 반구로 표면에는 많은 주름이 있어 표면적이 넓다.

겉질은 신경 세포체가 모여 있어 회색을 띠는 회색질이고 속질은 축삭 돌기가 모여 있어 흰색을 띠는 백색질이다.

좌반구는 몸 오른쪽의 감각과 운동을, 우반구는 몸 왼쪽의 감각과 운동을 담당한다.

추리, 기억, 상상, 언어 등 정신 활동을 담당하고 감각, 수의 운동의 중추이다.

소뇌

좌우 2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고 대뇌와 함께 수의 운동을 조절하고 몸의 자세와 평형을 유지한다.

간뇌

시상과 시상 하부로 이루어져 있다

시상은 척수나 연수에서 오는 감각  신호를 대뇌 겉질에 전달한다.

시상하부는 자율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연결하며, 항상성(혈당량 조절,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 등) 조절의 통합 중추이다.

뇌하수체는 호르몬을 분히하여 다른 내분비샘을 조절한다.

중간뇌

안구 운동과 홍채의 작용을 조절하며 소뇌와 함께 몸의 평형을 유지한다.

뇌교

대뇌와 소뇌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로 연수와 함께 호흡 운동을 조절한다.

연수

호흡운동, 심장 박동, 소화 운동 등을 조절하며 기침, 재채기, 하품, 눈물 등과 같은 반사의 중추이다.

최와 척수를 연결하는 대부분의 신경이 좌우 교차하는 곳이다.

 

2. 척수

 구조

척추 속에 들어 있어 보호를 받고 있으며 척추의 마디마다 좌우로 1쌍씩 신경 다발이 나와 온몸에 뻗어 있다.

전근은 운동 신경 다발이 척수의 배 쪽으로 나와 전근을 이루며 뇌에서 내린 반을 명령을 반응기로 전달한다.

후근은 감각 신경 다발이 척수의 등 쪽으로 들어가 후근을 이루며, 감각기에서 받아들인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대뇌와 반대로 겉질은 백식질, 속질은 회색질이다.

기능

뇌와 말초 신경계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회피 반사, 무릎 반사, 갓난아이의 배변 · 배뇨 반사 등과 같은 반사의 중추이다.

 

의식적인 반응과 반사

의식적인 반응은 대뇌의 판단과 명령에 따라 일어나는 반응으로 대표적인 현상이 파블로프의 개 실험이 있다

반사란 특정 자극에 대해 무의식적이고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으로 반사의 중추는 연수와 척추가 있다.

의식적인 반응보다 빠르게 일어나므로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고 반사가 일어날 때 자극이 대뇌로도 전달되므로 자극을 느끼고 반응을 인지하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