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

클라우드소싱의 개념과 성공 사례

mirror1120 2022. 12. 12. 16:15
반응형

클라우드소싱의 개념과 성공 사례

서너 명의 지혜가 한 사람보다 낫다면 수십, 수백 명의 지혜로 무엇을 성취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서 시작하게 된 것이 바로 클라우드 소싱의 발단이 된다.

 

클라우드 소싱의 개념

'클라우드 소싱'은 대중(Crowd)과 아웃소싱(Outsourcing)의 합성어로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게 데이터 수집, 정제, 가공, 품질관리 등에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을 뜻한다.

이는 대규모 집단의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나은 해결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클라우드 소싱'이라는 용어는 2005년에 한 잡지 편집자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으며 사람들은 역사를 통틀어 이 방법을 사용해 오고 있었다.

사람들이 어떤 방법으로 클라우드 소싱을 이용해 문제들을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냈는지 성공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클라우드 소싱의 성공 사례

1. 자유의 여신상

자유의 여신상은 어떻게 세울수 있었을까?

자유의 여신상은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기념물 중 하나이다.

하지만 많은 시민의 노력이 없었다면, 이 세계적인 조각상은 결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랜트마크 중 하나가 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이 웅장한 자유의 여신상은 프랑스의 한 조각가에 의해 디자인되었으며 1800년대 후반에 프랑스 정부로부터 미국에 선물로 보내졌다. 

이 자유의 여신상은 조각조각으로 나누어져서 뉴욕에 보내지고 조립을 기다렸다. 불행하게도 미국 정부는 조각상의 받침대에 기금을 댈 형편이 되지 않아서, 그 조각들을 수개월 동안 보관함에 방치하고 있었다.

그때 조셉 퓰리처라는 영향력 있는 신문 편집자에게 훌륭한 아이디어가 떠 오른다.

자신의 신문을 이용해서 그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기금 모금 캠페인을 추진한다.

그 결과 단 5개월 만에 그 캠페인은 전국의 12만 명이 넘는 기부자로부터 10만 달러 이상의 기부금을 모집했다.

당시 기부금의 대부분은 1달러 미만이었다.

하지만 모두 합치면 그 금액은 조각상의 받침대를 건립할 비용으로 충분했고 심지어 조각가에게 선물을 할 만큼 충분한 돈이 남았다.

 

2.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사람들은 어떻게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백과사전을 만들어 냈을까?

거대한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는 사실 누피디아로 알려진 초기 프로젝트에서 시작했다.

그 계획은 전문가들에 의해 작성된 온라인 백과사전을 출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중대한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첫해 동안 고작 21개의 글이 작성되며 내용이 극도로 느리게 작성되고 있었던 것이다.

내용 작성 과정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계획의 변경이 필요했었다.

위키피디아로 불리는 새 프로젝트에서는 글을 작성하거나 편집하는 것에 대한 허가가 단지 전문가들에게만 아니라 인터넷에 접속하는 누구에게나 주어진 걸로 변경된 것이다.

공동 작업의 규모는 인상적으로 나타난다. 첫해가 끝날 무렵에 위키피디아는 2만 개가 넘는 글을 18개 언어로 보유하게 된 것이다.

이후에 그 사이트는 250개 이상의 언어로 작성된 4천만 갱가 넘는 글로 늘어나며 급속도로 성장한다.

매달 위키피디아는 180억 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인터넷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 중 하나가 된다.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는 즐거움으로 결속된 위키피디아의 자발적인 집필자와 편집자들은 거대한 양의 정보를 한 곳에 엮어서 그것을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 덕분에 우리는 우리가 협력할 때 얼마나 많은 성취를 이룰 수 있는지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3. 기후변화 예측

우리는 어떻게 기후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가?

클라우드 소싱의 또 다른 형태는 시민 과학인데, 그것은 과학 연구에서의 대중의 참여와 협업의 실행이다.

시민 과학을 통해 사람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지식을 공유한다.

이 시민 과학의 훌륭한 사례가 미국의 프로젝트 버드버스트이다.

전국 각지의 일반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지역에 있는 다양한 식물 종의 잎, 꽃, 그리고 열매가 처음 나타나는 것에 관한 정보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그런 다음에 그들은 국가 데이터베이스로 그들의 자료를 보낸다.

과학자들은 개별 식물 종이 지역적으로, 국지적으로, 그리고 전국적으로 어떻게 기후 변화에 반응하는지 알기 위해 그 축적된 자료를 이용한다.

그들은 또한 조사 결과를 과거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기후 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알아내기 위해 그 자료를 사용할 것이다.

수많은 기여자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보내진 각각의 자료 표본은 매우 귀중해 클라우드 소싱이 없다면 이 대규모 자료를 통해 연구 프로젝트 자체는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오늘날, 클라우드 소싱은 소셜미디어 네트워크와 심지어 특별히 고안된 클라우드 소싱 플랫폼 같은 기술로 이해 더욱 강화되고 있다.

그런 네트워크와 플랫폼은 대중의 결합된 힘을 이용하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 더 수월하게 만든다.

이 집단적 힘은 우리 주 한 명이 성취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성취를 이루도록 우리를 도울 것이다.

또한 이 클라우드 소싱을 이용해서 경력단절 여성, 장애인, 은퇴자 등 다양한 인력에게 일자리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반응형